앱스토어 심사 거절 사례 Design – Sign in with Apple
앱스토어 심사 거절 정책: 디자인-Apple로 로그인
앱스토어 심사 사례 중 ‘Apple Login’ 정책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해당 내용은 앱에서 카카오톡, 구글과 같은 소셜 간편 로그인 기능을 제공할 경우 애플 로그인 기능도 함께 셋팅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1.애플 심사 리젝 사유

Guideline 4.8 – Design – Sign in with Apple
Your app uses a third-party login service, but does not offer Sign in with Apple. Apps that use a third-party login service for account authentication need to offer Sign in with Apple to users as an equivalent option to provide the sign-in experience App Store users expect.
Apple로 로그인
귀하의 앱은 타사 로그인 서비스를 사용하지만 Apple로 Login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계정 인증을 위해 타사 로그인 서비스를 사용하는 앱은 App Store 사용자가 기대하는 로그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동등한 옵션으로 사용자에게 Apple로 로그인을 제공해야 합니다.
계정 인증을 위한 동등한 옵션으로 Apple로 Login을 제공하도록 앱을 수정하십시오.
2.정책 상세 내용
앱에서 소셜(간편) 로그인을 제공하지만, 애플 로그인을 제공하지 않을 경우 정책 위반됩니다.
웹사이트에 일반 로그인 외에 소셜 간편(카카오톡, 페이스북, 구글, 네이버 등의) 로그인 기능을 넣어서 이용중인 경우가 많은데요.
이렇게 소셜 login을 제공하는 웹앱은 “Sign in with Apple= Apple로 로그인” 도 함께 셋팅해야 합니다.
소셜 간편 login을 제공하면서, 애플 login 기능이 없을 경우 100% 심사 거절됩니다.
일반 웹 로그인만 제공하고 있을 경우 전혀 문제 없구요.
소셜 및 간편 로그인을 제공할 때는 애플 로그인 함께 제공되어야 합니다.
3.조치 방법(해결책)
앱 제출 전 웹사이트에 간편 login을 제공하고 있다면 웹사이트에 애플 로그인을 추가 셋팅해주셔야 합니다
애플 로그인은 사용자분의 웹사이트에 적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앱에서는 적용할 수 없구요. 사이트에서 수정해주셔야 합니다.
만약 애플 login셋팅이 어렵다면,
우회적인 방법으로 심사 동안 간편 및 소셜 기능은 모두 제거하고 웹사이트 내 기본 login만 보여주셔야 합니다.
단, 해당방법으로 진행시 다음 업데이트 심사를 제출할 때 문제가 없도록
기능을 다시 감추거나 제거하여 제출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움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미지 참고)

